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반대 매매뜻

by Money Coach Roa 2023. 3. 22.

주식 반대 매매뜻 (신용거래시 반대매매가 생기는 이유)

 

요즘 증시 분위기가 상당히 좋지 않습니다

증시가 코라나떄 보다 더 하락한 것인데요

아마 20년 말 주식하면 누구나 돈을 벌때 분위기가 좋을 때 시작한 분들 많으실텐데 많이 당황스러우실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금리 인상과 증시 하락으로 인해 많은 개미들이 돈을 빼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투자 열풍이 사그러지게 될 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시 하락 속에서 최근 뉴스에서 "반대매매"라는 말을 쉽게 볼수있는데요 이 "반대 매매"의 뜻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주식 반대 매매란 ?

개인이 증권사에서 자금을 빌려 (신용거래) 주식을 산 이후 기한 내에 갚지 못하면 증권사가 강제로 팔아버리는 것

장시작과 함계 환한가로 처분되어 투자자는 손해

즉 반대매매가 많을수록 개이누자자들이 빌린 돈을 갚지 못했는다 것과 손실이 커지는것을 의미 합니다

총 보유자산이 일정하게 정해진 "담보유지비율"이 일정비율의 미만이 된다면 증권사에서 비율 유지를 위해 신용으로 매수한 금액만큼 주식 반대매매를 행하게 되는 것인데요

그럼 담보유지비율은 뭔지 알아볼까요?

 

담보유지비율 이란 ?

담보유지비율(=주식산돈/신용으로빌린돈):국낸 = 140% 해외 =170%로 지정되어 있음

신용거래시 보유자산 (현금+주식)이 담보유지비율 이상으로 유지해야하며 주가 하락으로 비율이 이하가 되면 반대 매매를 통해 신용거래로 매매한 금액 만큼 주식 처분

담보유지비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식 매매 화면에 보이는 몇가지 용어를 이해하셔야 하는데요

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신45" , "증30" 의 의미를 알아야 합니다

 

신45:내가 45만원만 있어도 100만원치를 살수 있고 450 만원이 있으면 천만원 4500만원이 있으면 1억원을 살수 있다는 말 (신용거래) 이경우에는 4500만원 내돈,5500만원이 빌린 돈이라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담보유지비율은 1억/5500만원(빌린돈)=181% 가 됩니다 하지만 자산가치가 하락해서 보유 잔고가 이비율이 140%미만 (빌린돈 5500만원*1.4)인 7700만원 이하가 된다면 강제 매도 "반대매매" 를 당하게 됩니다 이 반대매매를 피하기 위해서는 현금 증거금을 

추가적으로 넣어야 합니다

 

증30:증거금 또한 30%만 있으면 된다는 것을 의미; 위처럼 49,050원에 주가가 형성되어 있으면 이의 30%에 해당되는 14,715원만 있으면 1주를 매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머지 잔금은 완료일인 2일 후까지는 증거금 입금을 완료해야 합니다 만약 이것이 부족해질 경우 그다음날에 "반대매매"가 시행 됩니다

 

어떤 상황에서든 풀매수는 절대 금지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주식은 항상 소액으로 접근하며 어느정도의 현금 비중은

꼭 지키세요 그럼 모두 성투 합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