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글로벌 금속 생산량
2021년 기준 대부분 금속 생산량은 2000년 대비 거의 2배 증가
철강 8.5억톤 > 19.5억톤
구리 1.500만톤 > 2500만톤
알루미늄 2.400만톤 > 6800만톤
니켈 125만톤 > 270만톤
아연 873만톤 >1.300만톤
연 310만톤 >430만톤
2.수요 증가의 원인 : 중국
전세계 철강재 수용는 2000년 약 7.6억톤에서 2021년 18.4억톤으로 늘었는데 같은 기간 중국
철강재 수요는 1.2억톤에서 9.5억톤으로 늘었다 전체 증가분의 77%가 중국에서 늘었다는 의미다
철강 외 다른 금속 상황도 비슷 대부분 금속 수요의 절반은 중국이다 구리 58% 알루미늄 61% 니켈 55% 아연 48%
연 41% 다...
3.중국도 힘들다
중국이 이끈 금속 수요 증가는 이제 한계다 성장 속도 둔화 경제 구조 변화로 과거 만큼 많은 금속 수요 증가 유발이
어렵다
4.신규 수요는 에너지 전환 (친환경)
향후 금속 수요 증가는 에너지 전환이 이끌 것이다 2019년 세계 탄소배출량은 497억톤으로 이는 1990년 337억톤 대비
50%증가치 가장 많은 배출 부분은 전력으로 158억톤 (32%)를 배출하고 산업이 94억톤 운송이84억톤 건물이 31억톤 순
이다 요대로 탄소 배출 감소시켜야 한다
탄소 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화 시급 뭐 다아는 애기죠 암튼 원자력 외에 재생에너지 설비 규모는 아직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수소 전해설비 ccs는 거의 없는 수준
5.금속별 수요 전망과 이유
1.리튬:탄소 중립을 위한 전기차 배터리용 리튬 수요는 2030년 314만톤으로 2022년 대비 6.2배 2040년에는 17.5배
더필요하게 될것이다
2.니켈 : 2022년 닌켈 수요는 290만톤인데 여기서 11%인 32만톤이 에너지 전환용으로 추정됨 그리고 에너지 전환용에서
96%인 31만톤이 전기차 배터리용 나머지 ESS 수요 결국 여기도 전기차 향후 수요는 배터리 종류 별로 차이가 날 것이다
3.구리:2022년 전체 구리 수요 2.560.만톤 중에 25% 643만톤이 에너지 전환용으로 추정 그중에 75%가 파워그리드 수요
나머지 14% 90만톤은 전기차 수요다 탄소 중립을 위해 파워그리드 전기차 모두 확대된다 파워 그리드 구리 수요는 2030년 1.300만톤 2022년 대비 2.7배 2040년 1.790만톤으로 3.7배 더 필요하다
전기차 관련 구리수요도 증가한다 평균적으로 전기차 1대 구리 수요는 84kg로 내연기관 23kg대비 4배 정도 많다
2030년 전기차 관련 구리 수요는 554만톤ㅇ로 2022년 대비 6배 2040년에는 1.450만톤으로 2022년 대비 16배
더 필요해 진다
댓글